디지털 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 7개소 운영
- 카테고리 없음
- 2020. 12. 17.
디지털 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 7개소 운영
- 지역 사회 디지털 성범죄 대응 및 피해자 지원 강화 -
▪ 전문 상담사 배치, 심층 상담과 치유회복 프로그램 등 맞춤형 서비스 제공
□ 여성가족부(장관 이정옥)는 지역 사회의 디지털 성범죄 대응과 피해자 지원 강화를 위해 11일(금) ‘디지털 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(이하, ’특화상담소‘)’를 7개소 지정하고 내년 1월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.
ㅇ 이번 특화상담소 지정을 위해 17개 시‧도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의견수렴과 공모를 실시하였으며, 심사를 통해 최종 사업지역 및 운영기관(7개소)을 선정하였다.
* (선정 기관) 경남1366, 경북성폭력‧가정폭력통합상담소, 대구성폭력피해상담소, 부산성폭력피해상담소, 전북성폭력피해상담소, 제주성폭력‧가정폭력통합상담소, 충남1366(‘가나다’ 순)
□ 앞으로, 특화상담소에서는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이해와 여성폭력 피해 상담 경력을 갖춘 전문 상담사를 배치(개소당 2명)하여, 지역 사회의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에게 심층 상담과 치유회복 프로그램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.
【특화상담소 피해자 지원절차】
![]() |
ㅇ 우선, 디지털 성범죄 피해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불법촬영물 삭제 등 긴급지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관련 증거자료 등을 수집하고, 해당 플랫폼 사업자에게 불법촬영물 삭제를 요청한다. 또한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의 ‘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’와 연계하여 다른 플랫폼의 유포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등 사후관리도 지원한다.
ㅇ 또한, 지속적인 심리 상담서비스와 트라우마 치료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여 피해자들의 회복과 일상 복귀를 지원할 예정이다.
ㅇ 그밖에 특화상담소를 중심으로 교육기관, 수사기관, 아동‧청소년 지원기관 등 관계기관과 협조 체계를 구축하여 디지털 성범죄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,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인식개선 활동도 지원하게 된다.
□ 여성가족부는 이번 특화상담소 7개소 운영을 비롯하여 불법영상물 모니터링 및 24시간 상담과 삭제지원을 위한 ‘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*’ 전문인력 확충(22명), 디지털 성범죄 예방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, 디지털 성범죄 대응 전담부서 설치 등 내용을 포함한 2021년도 예산 41억 원(전년 대비 31억 원 증)을 편성하여 디지털 성범죄 예방 및 피해자 지원에 더욱 힘쓸 예정이다.
*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 : ☎ 02-735-8994, 누리집(www.women1366.kr/stopds)
□ 황윤정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장은 “앞으로 특화상담소를 통해 지역에 거주하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들이 보다 신속하고 꼼꼼한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.”라며,
ㅇ “불법촬영물 삭제지원과 심리치유 등 피해자 지원에 만전을 기하고, 지역 사회에서의 디지털 성범죄 예방 활동에도 힘써 나가겠다.”라고 밝혔다.